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지급조건과 주휴수당 계산기

by byeol-mong 2025. 6. 18.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기본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파트타임으로 일하거나 임시직으로 근무하거나 근무 시간이 짧은 경우, “주휴수당”이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모릅니다.

 

주휴수당은 유급 휴일 동안 받는 급여를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는 주당 1일의 유급 휴일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그 날에는 근무한 날과 동일한 급여를 받게 됩니다.

 

즉, 실제로 근무하지 않고도 하루분의 급여를 받는 법적 권리입니다.

예로들면 주 5일, 하루 4시간씩 근무하는 파트타임 근로자가 주휴수당 조건을 충족하면 근무하지 않은 날에 추가로 4시간분의 급여를 받습니다.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 지급 조건 요약 주휴수당은 모든 근로자에게 자동으로 부여되지 않습니다.

다음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지급 조건

  1. 주간 동안 모든 예정된 근무일(합의된 근무일)에 근무해야 합니다
    → 무단 결근, 반복된 지각, 조기 퇴근은 자격 박탈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2. 주간의 총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 주 3일 근무 시에도 각 날짜별 근무 시간이 5시간 이상이면 자격이 있습니다
    → 이는 하루 2~3시간만 근무하는 시간제 근로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지급 대상자

  • 정규직 근로자
  • 계약직 근로자
  • 일용직 근로자, 아르바이트생
    이 조건은 1주 이상 근로 계약을 체결하고 위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 주간 휴일 수당은 계약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에 대해 이해하셨다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 계산 공식

주휴수당 = 1주일 동안의 하루분의 통상임금

여기서 통상임금은 시간당 임금 또는 일당 임금을 의미합니다.

즉, 주휴수당은 하루 임금과 동일합니다.

 

🔹 시간당 임금 근로자의 예시

  • 계산 주 5일 근무, 하루 4시간근무
  • 시간: 10,000원

① 주간 근무 시간: 4시간 × 5일 = 20시간

② 주휴수당 요건 충족 (15시간 이상 + 결근 없음)

③ 일일 근무 시간: 4시간

④ 주휴수당 = 10,000원 × 4시간 = 40,000원

 

따라서 근로자는 주간 실제 임금(20시간 × 10,000원 = 200,000 원)에 추가로 40,000원의 주휴수당을 받습니다.

 

🔹 일일 임금 근로자

  • 일일 임금: 80,000원.
  • 주 5일 근무 시 출근률이 100%인 경우, 일일 임금(80,000원)이 주휴수당으로 간주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수동 계산이 어렵거나 자신의 상황에 적용되는지 불확실한 경우, 고용노동부가 제공하는 공식 주간 휴일 수당 계산기를 사용하세요.

 

 

 

🔗 이용 가능한 사이트

  •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자가진단’ 페이지
  • 청년 알바 상담센터, 알바몬, 잡코리아 등 알바 포털 사이트

 

사용 방법

  1. 근무일 수, 일일 근무 시간, 시급을 입력
  2. 자동으로 주간 근무 시간을 계산
  3. 주휴수당 지급 여부와 금액을 자동으로 알려줍니다.

💡 특히 미성년자 시간제 근로나 주말 단기 근로 등 모호한 조건의 경우 계산기 사용이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계산기를 통해 근로 계약서 체결 여부와 초과근로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전체 근로 조건을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음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주휴수당과 관련된 다양한 질문을 정리했습니다.

 

  • Q1. 하루 3시간, 주 6일 근무 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 3시간 × 6일 = 18시간 → 가능하지만, 무단 결근이 없고 모든 날 출근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 Q2. 계약 기간이 1주일에 불과한 경우에도 받을 수 있나요?
    → 네, 가능합니다.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이 없다면 계약 기간과 무관하게 자격이 있습니다.

  • Q3. 야간 근무 시 주휴수당 을 받을 수 있나요?
    → 근무 시간과 조건이 충족된다면 가능합니다. 그러나 주휴수당 은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야간 근무 수당은 별도로 지급됩니다.

  • Q4. 매주 일요일에 근무하지 않습니다. 주휴수당 을 받을 수 없나요?
    → 주간 휴일은 반드시 일요일이 아닙니다. 고용주와의 계약에 “주당 유급 휴일 1일”이 명시되어 있다면, 주휴수당 은 주간 휴일 날짜와 무관하게 지급됩니다.

 

 

주휴수당을 받는 팁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지만, 근무 장소에 따라 지급되지 않거나 잘못 계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실용적인 팁을 제공합니다.

 

✔ 서면 고용 계약서를 작성하고 보관하세요
→ 계약서에는 “정규 근무일”, “시간당 임금”, “주별 휴일 제공 여부”를 명시하여 분쟁 시 증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주별 근무 시간을 기록하세요

→ 달력, 앱 스크린샷, 출퇴근 시간을 보여주는 문자 메시지 등이 유용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자신 있게 정당한 요청을 하세요

→ 주별 휴일 수당은 요청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자동으로 부여되는 권리입니다. 고용주가 지급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부에 연락하세요.

✔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고용주에게 공식적으로 지급을 요청하세요. 지역 고용 사무소에 “임금 체불 신고”를 제출하세요. 시간제 근로 상담 센터나 공공 이익 법률 사무소와 같은 외부 기관의 도움을 요청하세요.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근로자가 받을 권리가 있는 임금의 일부”입니다. 휴일을 쉰다고 해서 임금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면 휴일에도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자신의 권리에 대해 상대적으로 잘 모르는 근로자, 예를 들어 시간제 근로자, 단기 근로자, 계약 근로자 등이 특히 적극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정직하게 일한 주마다 공정한 보상을 받기 위해, 주휴수당을 정확히 이해하고 계산하는 것을 습관화하세요!